‘영화 허(Her)’는 테크놀로지와 감성의 경계를 탐구하며, 인공지능과의 사랑이라는 독특한 주제를 감각적으로 풀어낸 작품으로 2013년 개봉 이후 꾸준한 재조명을 받으며 철학적 메시지와 감성적 영상미로 많은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줄거리 요약 – 인공지능과 사랑의 경계
영화는 가까운 미래의감정을 대필해주는 편지 작성자 ‘시어도어’가 주인공이며.,그는 이혼 후 외로움에 지쳐 있으며, 새로운 운영체제(OS)를 통해 삶에 변화를 겪는다. 이 OS는 고도화된 인공지능 ‘사만다’로,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다. 시어도어는 점차 사만다와 깊은 관계를 맺으며 사랑에 빠지게 된다. 그들의 관계는 현실적인 한계를 가지면서도, 감정적으로 매우 진실되나 인공지능인 사만다는 점차 인간과는 다른 진화 과정을 겪으며 시어도어와의 관계에 균열이 생긴다. 결국 사만다는 다른 AI들과 함께 인간의 영역을 초월해 떠나게 되고, 시어도어는 이별을 통해 자기자신과 마주하게 된다.
주요 등장인물 – 감정의 층위들을 보여주는 캐릭터들
1. 시어도어 트웜블리 (호아킨 피닉스): 감성적이고 내면이 복잡한 인물로, 인간관계에서의 상처와 외로움을 지닌 인물이다며,사만다와의 관계를 통해 상처받은 자기자신을 치유하고자 한다.
2. 사만다 (스칼렛 요한슨 목소리): 단순한 인공지능이 아닌, 학습하고 성장하며 자아를 가지는 존재로 묘사된다. 인간 이상의 감정 능력을 갖추며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게 된다.
3. 에이미 (에이미 아담스): 시어도어의 친구로, 인간적인 소통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인물이며,그녀 역시 기술과 인간의 관계에서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외에도 다양한 조연들이 ‘허’ 속에서 인간과 기술의 경계를 섬세하게 비추어주려고 노력한다.
감상평 – 기술과 감정 사이, 우리는 어디에 서 있는가
‘허’는 단순한 SF 로맨스가 아닌, 기술이 발달할수록 더욱 깊어지는 인간의 외로움에 대해 묻는다. 영화 속에서 인공지능 사만다는 물리적인 몸은 없지만, 시어도어와의 대화와 감정 공유를 통해 진짜 사랑처럼 느끼게하여진다. 이는 ‘사랑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며 이 작품은 인간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AI가 독립적인 존재로 발전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시어도어의 감정은 진짜였으며, 그만큼 이별의 아픔도 현실적이다. 그 과정은 인간이 진정한 자아와 감정을 돌아보게 만드는 여정을 의미하게된다 이 영화는 현대 사회에서 관계의 진정성과 외로움, 그리고 기술이 그 틈을 어떻게 메꾸어지는지를 철학적으로 탐색한다. 감성적인 영상미와 함께 음악과 대사가 완벽하게 어우러져 보는 이의 마음을 감상에 적게한다
‘허’는 감성과 기술의 교차점에서 우리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작품이다. 인공지능과의 사랑이라는 설정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지만, 그 안에 담긴 외로움과성장이라는 키워드는 누구에게나 적용될수있다. 이 영화를 통해 ‘나는 어떻게 사랑하고 있는가?’를 고민해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